부석사라 이름하게 됨은 불전 서쪽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아래의 바위와 서로 붙지 않고 떠 있어 뜬돌이라 한데서 연유하였다 한다.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한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 앉았다고 전한다. 그래서인지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다. -네이버-
노을을 등지고 김도향씨가 프로그램 마지막 좔영을 하는중이었다...덕분에 법고치는 모습을 가까이 하기가 어려웠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아래로 내려갈수록 더 넓어진다...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건물로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시고 있다.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짓고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고쳐 지었으나, 공민왕 7년(1358)에 불에 타 버렸다. 지금 있는 건물은 고려 우왕 2년(1376)에 다시 짓고 광해군 때 새로 단청한 것으로, 1916년에 해체·수리 공사를 하였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를 간결한 형태로 기둥 위에만 짜올린 주심포 양식이다. 특히 세부 수법이 후세의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장식적인 요소가 적어 주심포 양식의 기본 수법을 가장 잘 남기고 있는 대표적인 건물로 평가 받고 있다. 건물 안에는 다른 불전과 달리 불전의 옆면에 불상을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무량수전은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로서 고대 사찰건축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건물이 되고 있다.-네이버-
무량수전 전경....배흘림기둥의 전체모습이 보인다.
무량수전 아미타불님.......
법고를 시작으로 저녁예불이 시작되는지......법고는 축생, 목어는 물고기, 운판은 새종류, 범종은 지목중생을 뜻하며, 모든 만물이 이소리를 듣고 깨달음을 얻는데로 인도하고자 한다고 한다.
방송장비에 가려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목어......
운판,,,,,
법고,목어,운판,마지막으로 범종을 치신다....정각스님의 책 "예불"에 아침엔 28번..저녁엔 33번종을 치는것은....아침28번은 수미산을 중심으로 '수직적 28천'의 하늘에 각각 종이 울려퍼짐을 기원하는 것이고 저녁 33번의 종을 치는것은 도리천을 중심으로 '수평적33천'의 하늘에 종소리를 울려 퍼지게 하고자하는 염원이라 한다..... 종소리를 들으며 일주문을 나섰다......
내려올때는 해가 다 서녘으로 떨어진 뒤.....
부석사를 뒤돌아보며......무엇인가 아쉬운 마음이 뒤끝에 걸려있었다....
아래사진은 무심재님께서 찍으신 사진....노을사진이 아름다워 모셔왔습니다^-^
'향기로운 세상 > 산사의 향기를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물흐르는 산사 (0) | 2012.04.16 |
---|---|
관음보살의 미소-남해금산 보리암(2012. 3. 31) (0) | 2012.04.01 |
바람부는날 닿았던- 화순 운주사 (0) | 2012.02.19 |
바람이 부는날에 닿았던- 나주 불회사 (0) | 2012.02.19 |
국녕사(2011. 12) (0) | 2012.01.02 |